[한국공보뉴스/인천취재보도본부] 김영환 취재부장
인천, 캐시백 갈팡질팡 정책, 6%에서 3%로 두번째 하향 조정, 캐시백 ‘월 9000원’으로 제한.
오늘 22일 인천시(시장 박남춘)에 의하면 인천시 지역화폐 인천이(e)음 캐시백 혜택을 절반으로 대폭 축소하여 개인이 돌려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월 9000원으로 제한한다고 밝혔으며 가입자도 89만명을 넘어서 인천e음 재정이 고갈되게 되자, 또다시 3개월 만에 캐시백 혜택을 추가 조정하게 된 것으로 인천e음카드를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시의 갈팡질팡 정책으로 혼란만 가중하고 있다.
이는 예상하지 못한 캐시백 지급으로 인천e음 재정의 관련 예산이 조만간 소진될 것을 우려한 인천시가 인천e음 캐시백 비율을 현행 6%에서 3%로 절반을 하향 조정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처해 있기 때문으로 게다가 오는 11월부터는 캐시백이 지급되는 1인당 사용 한도액 또한 월간 30만원으로 줄어들게 되며 이에 대해 시에서는 올해 11조원 규모의 시 재정에 의한 국비 260억원, 시비 468억원 등 총 728억원의 캐시백 예산은 만만치 않은 금액으로 추가경정으로 확보한 예산도 오는 11월 중 조기 소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에 따라 재정 투입 규모와 지역화폐 시장을 고려해 3%가 적정 할인율이라고 밝혔다.
또한, 캐시백 비율을 3%로 조정할 경우 내년에도 재정 투입 규모가 1000억원에 미치지 않아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캐시백 혜택 또한 군·구별로 달라 지역 격차가 생긴다는 지적을 고려하여 내년부터 관할 10개 군·구의 캐시백 비율도 3%로 통일하기로 하였으며 이처럼 인천e음 혜택이 축소된 건 불과 3개월 만으로 이에 앞서 시는 지난 8월1일부터 캐시백이 지급되는 사용 한도를 월 100만원으로 조정하고 차량 및 가전제품의 유통점이나 유흥업소 등의 업종을 제한해 왔었다.
인천시 김상섭 일자리경제본부장은 “그동안 고액 결제 이용자가 많은 캐시백 혜택을 얻어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생겨나고 고가품 구입이나 유흥비 지출에도 캐시백이 지급된다는 비판이 생기는 등 예측하지 못한 변수들이 있게 되었다”며 “인천시에서는 지난해 7월 ‘인처너카드’로 첫선을 보인 인천e음의 올해 가입자 수를 70만명으로 예상하였고 발행액 규모는 3000억원이었으나 지난 7월 말 발행액이 4302억원으로 집계된 데 이어 지난 13일 기준 가입자 수는 89만명, 발행액은 1조1000억원을 넘어서게 되어 어쩔 수 없는 불가피한 선택으로 지난 8월에 이어 또 한 번의 캐시백 구조를 조정하게 되어 송구한 마음을 감출 수 없다”고 말했다.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미추홀구, ‘2박3일 황제 워크숍’ 논란 (0) | 2019.10.23 |
---|---|
‘성매매업소’를 오피스텔 33채나 빌려 운영한 일당 구속! (0) | 2019.10.23 |
광역급행 ‘엠(M)6439버스’ 개통으로 출퇴근 숨통 트인다 (0) | 2019.10.22 |
인천, 마스크팩 제조공장 화재로 6억9천만 원 피해 추정 (0) | 2019.10.22 |
‘무의도’, 통행차량 분석 위해 인공지능 기술 도입! (0) | 2019.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