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합뉴스

인천대공원 호수, ‘악취 · 적조 없는 친환경 호수’로 거듭나

by 경초 2021. 3. 29.
반응형

[한국공보뉴스/인천광역본부] 김영환 기자

다량의 부유물과 퇴적토 지속 유입 및 하절기 조류 증식 활발로 수질관리 어려움이 많았으나

연차별 수질개선 추진 로드맵 수립, 4년간 수질개선사업 추진.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에서는 남동구에 소재한 인천의 대표 공원인 인천대공원 내, 호수에 대해 추진하였던 4개년(2018~2021) 수질개선사업을 모두 완료하였다고 밝힘에 따라 연간 600만 명 이상이 찾는 인천대공원이 악취·적조 없는 친환경 호수와 함께 더 깨끗하고 쾌적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게 되었다.

오래전인 1995년 조성된 인천대공원의 중심부에 위치한 호수는 44,370㎡의 면적에 약 5만 톤의 담수 용량을 갖고 있지만, 상류인 만의골 지류에서의 다량의 부유물과 퇴적토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쌓이게 되면서 여름철에는 조류 증식이 활발해져 수질관리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지난 2018년부터 인천대공원 측은 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연차별 수질개선 추진 로드맵을 수립하고, 4년간 수질개선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이에 따라 지난 2018(1)에는 침전 유입물 개선을 위한 수질개선장비(5)를 설치한데 이어, 2019(2)에는 바닥 퇴적물을 하류로 배출하기 위해 기존 고무가동보 방식을 전동식 수문 방식으로 바꾸는 작업을 하였고 지난해 2020(3)에는 수위 및 밸브 원격감시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올해 3월에는 마지막(4)으로 만의골 지류 유입부에 대한 준설공사를 모두 마쳤다.

이처럼 4년간의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수질개선사업과 수질검사, 모니터링 등을 통해 인천대공원 호수는 악취와 적조가 없는 친환경 호수로 재정비되었으며, 공원 방문객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서도 89% 이상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소모성 예산인 필터교체비 4억 원과 매년 소요되던 수처리 용역비 4천만 원, 유지관리비 약 1천만 원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천대공원 호수의 수질개선장비는 산불진화헬기 담수용 저수조 설치에도 활용되어 전국 최초, 동절기에도 결빙 없이 산불진화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질개선과 산불대응의 두 가지 효과를 거두게 되었으며 인천대공원사업소 서치선 소장은 호수 수질개선사업이 모두 완료됨에 따라 기존보다 더욱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을 갖추고 시민들에게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쾌적한 도심속 휴식공간으로 거듭난 인천대공원은 남동구 장수동에 위치하여 2,665천㎡의 면적에 수목원, 습지원, 동물원, 목재문화체험장, 환경미래관 등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휴양공원으로 연중 휴무일 없이 운영되며, 운영시간은 하절기에는 05:00~23:00, 동절기에는 05:00~22:00까지다.

 
serioso27@hanmail.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