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보뉴스/인천광역본부] 김영환 기자
일제강점기 일본군 무기 제조공장인 '조병창'과 관련된 유적 등
‘B구역 시설물’ 중 보존 대상 확정 지연, B구역은 건물 하부 오염 등 광범위한 오염 상태.
오늘 24일 한국환경공단에 의하면 인천시 등에 캠프마켓 B구역의 오염 토양 정화작업을 중지할 수도 있다는 내용의 공문을 여러 차례 발송 하였고 이유는 국방부의 의뢰를 받아 캠프마켓 내 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으나 B구역 내 시설물의 보존 여부 결정이 계속 지연되자 한국환경공단에서는 더 이상 정화작업을 이어가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던 것으로 이에 따라 캠프마켓의 오염된 토양 정화작업이 중단될 처지에 놓여지게 되었다.
앞서 문화재청은 지난해 10월 캠프마켓 전체 44만여㎡ 가운데 최근 개방된 야구장 부지 일대를 포함하는 10만여㎡ 면적의 B구역에 대한 조사를 벌여 3개 시설물에 대한 보존을 권고하였으며 해당 시설물은 모두 일제강점기 캠프마켓 부지에 있었던 일본군 무기 제조공장인 '조병창'과 관련된 유적으로 과거 조병창의 병원으로 사용됐던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주한미군이 사용했던 조사 구역 내 야구장 · 수영장 · 창고 등 시설물들도 추후 공원 활용계획에 반영하여 보존 필요성을 검토해볼 것을 권유하였지만 인천시에서는 B구역 내 시설물 중 철거하지 않고 기존 상태로 보존할 대상을 아직 확정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도시계획 · 건축 · 환경 · 역사 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캠프마켓 시민참여위원회에서 시설물 보존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확정 지연에 대해 위원회 내부에서는 시설 철거 후 제대로 오염 토양을 정화해야 한다는 의견과 시설물을 보존하여 후대에 남겨야 한다는 의견 등이 대두되고 있어 인천시 관계자는 "위원회 내 역사문화 · 환경 · 도시재생건축 등 3개 분과에서 돌아가면서 캠프마켓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오는 3월 25일쯤 시민참여위원회를 개최하여 관련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환경공단에서는 이처럼 시설물 보존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현 상태에서는 더는 B구역에 대한 정화작업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입장으로 지난해 10월 B구역에 대한 정화작업을 시작하여 이달 기준 공정률은 10%로 해당 B구역은 납 등 중금속과 유류에 오염되어 정화해야 할 토양은 총 1만8천㎥ 규모로 추산하고 있으며 공단은 캠프마켓 내 A구역으로 불리는 옛 군수품재활용센터(DRMO) 부지 10만9천957㎡에 대해서는 문화재청의 권고에 따라 일제강점기 조병창의 주물공장으로 쓰였던 건물 등 6개 시설물을 보존한 채 정화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당초 B구역의 오염 토양을 정화하는 작업에 대해서는 올 연말까지 끝낼 계획이었으나 지연될 가능성이 크며 한국환경공단 관계자는 "A구역의 경우 건물 하부 토양이 오염되지 않아 해당 시설물들을 보존한 채 정화작업이 가능했다"고 하였고 이어 "B구역은 오염이 광범위한데다 건물 하부까지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건물들을 존치한 상태로 정화작업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serioso27@hanmail.net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왕리 마지막 배달 참변, ‘음주운전 가해자 중형 구형’ (0) | 2021.02.25 |
---|---|
『경인고속도로』 ‘전구간 지화 화 목표 순항 중’ (0) | 2021.02.25 |
‘아트센터인천’ 『마티네 콘서트, 토요스테이지』 4월부터 공연시작! (0) | 2021.02.24 |
인천시, 26일부터 접종 대상자 코로나19 백신 접종 개시! (0) | 2021.02.24 |
서구, 심야에 기계 점검 중 ‘컨베이어벨트에 끼어 근로자 사망’! (0)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