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보뉴스/인천광역본부] 김영환 기자
300만 인구였던 인천시 반년 넘게 295만명 선 회복 못해,
295만명 선 붕괴에 따라 1년 반 만에 실·국·본부 통폐합 등 불가피한 조직 축소 상황 도래.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에서는 작년 6월 인구가 295만명 밑으로 내려간 뒤 반년 넘게 295만명 선을 회복하지 못함에 따라 상반기 중 시청 실·국·본부를 현재 17개에서 15개로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오늘 19일 밝힘에 따라 인구 기준으로 서울과 부산에 이어 국내 3대 도시인 인천시의 시청 조직 축소가 불가피해 지게 되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보면 인천시의 인구는 올해 1월 기준 294만2천452명으로, 작년 6월부터 8개월 연속 295만명에 미치지 못했으며 행정기구 설치 기준에서 인구 295만명 선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관계로 인구가 2년 연속 증가하고 295만명 이상일 땐, 인구 300만∼350만명 광역시와 같은 기준을 적용 받아 시청에 실·국·본부를 13∼15개 둘 수 있다.
인천시는 과거 인구 증가와 함께 지난 2018년 1월에 내국인 인구 295만명을 돌파하여 300만 도시 대우를 받게 되었고 여기에 시·도 조례로 기구 설치기준 상한의 20% 범위에서 실·국·본부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는 정원 기준 규정을 적용하여 조직을 확대하고 지난 2019년 8월 정책기획관실을 상시기구로 전환하는 한편 주택녹지국과 건강체육국을 신설하여 17개 실·국·본부의 현 조직체계를 갖추었다.
그렇지만 인구 감소로 인해 295만명 선이 붕괴함에 따라 불과 1년 반 만에 실·국·본부 통폐합 등 조직을 축소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져 시의 조직 축소는 행정 서비스의 질 하락과 전문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시민들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박남춘 인천시장은 최근 페이스북에서 "현재 인천 인구가 '295만명 이상'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정도로 줄어 행정조직까지 축소해야 하는 실정"이라며 "군·구별 인구 추이 자료를 면밀히 분석하여 인구수가 다시 회복될 전망이라면 해당 자료를 토대로 행안부와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시는 수년 전까지만 해도 송도·영종·청라 등 경제자유구역 개발에 따른 도시 확장으로 인구가 꾸준히 증가했으며 특히 지난 2016년 10월에는 내국인 294만1천405명, 외국인 5만8천608명 등 300만13명을 기록하며 외국인을 포함 300만명을 돌파하게 되어 인천시는 당시 1980년 부산에 이어 36년 만에 국내에서 300만 도시가 탄생되었다며 대대적 자축 행사를 열기도 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일자리 감소로 인해 인구 유출이 발생한데다 출산율 감소까지 겹치게 되며 현재의 인구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 관계자는 "2035년에는 인천 인구가 318만명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자체 연구 결과도 있기 때문에 현재 인구 감소는 일시적이라고 보고 있다"며 "다만 규정상 295만명을 유지 못 하면 시 조직을 축소해야 하는 현재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인 조직개편 방안을 찾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하였다.
serioso27@hanmail.net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동구, ‘소래습지 물류단지’ 조성 반대 ‘시민 청원 3천명 이상 동의’ (0) | 2021.02.19 |
---|---|
인천시, ‘500병상’ 규모 『송도세브란스병원』 23일 기공식 (0) | 2021.02.19 |
『검단선사박물관』”도슨트 검이의 온라인 박물관”운영 (0) | 2021.02.18 |
거리에서 만나는 희망의 불빛, ‘자살예방 『로고젝터』’ (0) | 2021.02.18 |
'왕따' 가해자로 몰린 여고생, 교장 상대 승소!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