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보뉴스/인천광역본부] 김영환 취재국장
오는 6월 신국제여객터미널 개장으로 115만명 유치 목표였으나 ‘신종 코로나’로 달성 불투명.
오늘 3일 해양 관광 관련 업계에 의하면 지난해 103만명이 이용했던 인천과 중국을 오가는 10개 노선의 국제카페리는 지난주부터 여객 수송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으며 관광 성수기 이전의 추이가 관건임에 따라 한중 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갈등으로 고전했던 인천 해양관광업계가 엎친데 덮친 격으로 이번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이라는 대형 악재를 만나게 되었다.
따라서 한중간을 운항하는 카페리 선사들은 해마다 받는 선박 정기검사를 진행 중인 4개 노선과 지난해 선박 화재로 컨테이너선이 대체 운항 중인 1개 노선을 뺀 5개 노선은 당분간 여객을 승선시키지 않은 채, 컨테이너 화물에 대해서만 수송할 계획이며 신종 코로나의 확산 차단을 위해 이러한 결정을 내리게 된 카페리 선사들은 여객 운송 재개 시점까지 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과 중국간 카페리선의 여객 수는 2016년 92만명을 기록하였으나 사드 갈등의 여파로 2017년 60만명으로 급감한 뒤 2018년에는 81만명, 지난해에는 103만명으로 점차 회복되는 듯 하여, 올해 6월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 개장을 맞아 지난해보다 10.5% 늘어난 115만명 유치를 목표로 하였지만, 이번 신종 코로나의 확산으로 목표 달성이 불투명해져 버렸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단체여행이 급감하였던 지난 2015년 인천과 중국간 카페리 여객 수는 81만명으로 전년 대비 15.4%나 감소했던 사실이 있으며 정부가 1천억원이 넘는 사업비를 투입하여 지난해 개장한 인천항 크루즈 전용 터미널은 사정이 더욱 심각하여 사드 갈등 여파로 지난해 기항한 크루즈가 10척에 그친데 이어 올해 기항 예정인 크루즈도 13척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마저도 신종 코로나 사태 전개 추이에 따라 상당수가 취소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신종코로나’라는 악재가 오기전 인천항만공사에서는 올해 중국 당국의 한한령(限韓令)이 해제되게 되면 50척 이상을 유치하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세운 상태지만 업계에서는 카페리를 이용하는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특성상 신종 코로나 확산 사태가 진정 국면에 접어든 이후에도 최소한 1∼2개월의 관광객 모집 기간이 더 필요하여 인천의 해양관광 분야는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카페리 업계 관계자는 "매년 1∼2월은 관광 비수기이고 카페리 정기검사가 진행되어 당장은 손실이 크지는 않지만, 관광 성수기가 시작되는 4월까지 사태가 진정될지 여부가 관건"이라며 "사드 여파에 따른 침체를 겨우 벗어나려던 인천 해양관광업계가 올해도 연이은 악재로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고 전망하였다.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검단산단 근로자 출퇴근 『무료 통근버스』로 변경 (0) | 2020.02.04 |
---|---|
‘인천경제자유구역 홍보관’ 등 ‘다중이용시설 임시 휴관’! (0) | 2020.02.04 |
‘인천1호선’, ‘서울7호선’ 연장구간 ‘역명’ 의견 수렴 (0) | 2020.02.03 |
신종코로나 『1급 감염병』으로 ‘재해보험금’ 수령 (0) | 2020.02.03 |
반세기 만에 點燈되는 서해 최북단 『백령도 등대』 (0) | 2020.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