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보뉴스/인천취재보도본부] 김영환 취재부장
‘시 항만부서’ 인천신항선 도입 위한 부지 요청, ‘경제청’은 '지하차도 건설' 주장, 반대 민원 등…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에서는 제 4차 국가철도망 구축에 따른 '인천신항의 철도 인입선(인천신항선)'을 놓고,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2021~2030년)과 제4차 항만기본계획(2021~2030년)과의 요구 내용이 틀리고 물류 활성화에 따르는 시의 의견과 지역주민들의 반대 민원 사이에서 갈팡질팡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에 대해 인천시는 "인천신항선은 인천신항의 물동량 수송 등 철도 물류의 활성화를 위하여 제3차 철도 계획에 반영되었다"며 "기존의 제3차에 이어 제4차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종전 계획 그대로 제출했다"고 하였다.
인천신항선 사업은 길이 12.5㎞로, 사업비가 5470억원으로 추정되며 지난 2012년 2025 인천도시기본계획에 반영되어, 2016년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최종 확정됨에 따라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에 장기 과제로 반영되었던 사업이다.
또한,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은 법정계획이기 때문에 이러한 계획에 반영되어야 만, 고속철도와 일반철도 및 광역철도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 선정되게 되는 것이지만 인천시 항만부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생각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천시에서는 지난 11일 인천해양수산청과 인천항만공사와의 고위정책협의회의 회의 때 '인천신항 진입도로 지하차도'를 제4차 항만계획에 포함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그러나 지난 2017년 민선6기 당시 ‘시 항만부서’에서는 인천경제청에 인천신항선 도입을 위한 부지를 요청하였고 ‘인천경제청’은 사업 추진 가능성이 없는 '지하 건설'로 응답했으며 그로부터2년 후 인천경제청에서는 인천신항선과 지하차도건설이 동시에 추진될 수 없는 만큼 '지하차도' 건설에 중점을 뒀고 인천시 항만부서 역시 인천경제청의 결정에 따르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천시는 '인천신항선'을 놓고 제4차 철도계획과 제4차 항만계획에서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정부를 설득하는 상태로, 시 해양항만과는 "인천경제청과 같은 목소리를 내기 위해 인천신항선 대신 지하차도 건설을 제4차 항만계획에 반영 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하였으나 인천경제청에서는 "’인천시 철도과’의 제4차 철도계획과 ‘시 항만과’의 제4차 항만계획은 다른 것으로 지하차도의 건설 후 인천신항선 건설을 고려하겠다"고 하였다.
이에 대해 해당 지역의 항만업계는 "인천신항의 물류 활성화를 위해서 ‘인천신항선’이 반드시 필요한 만큼 시 내부에서 정책 혼선을 빚지 말고 지역의 여러 목소리를 반영해야 한다"고 하였다.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인천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장’ 선정 현판식 개최 (0) | 2019.11.27 |
---|---|
높이 20M의 ‘새우 전망대’ 들어서는 ‘소래포구’ (0) | 2019.11.26 |
환상의 발레 공연으로 찾아오는 『호두까기 인형』 (0) | 2019.11.26 |
그룹 카라의 ‘구하라’ 사망소식에 줄 잇는 애도 물결 (0) | 2019.11.25 |
‘유상철 감독’, 변함없는 모습으로 벤치에서 경기 지휘 ! (0) | 2019.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