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보뉴스/인천취재보도본부] 김영환 취재부장
인천항의 항만물류시설은 꾸준한 확충 반면, ‘핵심 도로망’ 건설 지연, 일부 구간이라도 조기 개통 촉구.
국토교통부에서 최근 발표한 광역교통 도로 대책에서 수도권 제2순환도로의 전 구간을 2026년까지 개통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인천 신항과 신국제여객터미널 등 대규모 항만물류시설을 지나게 되는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인천∼안산 구간 주변 지역의 교통대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건설중인 제2순환도로는 총 12개 구간 중 현재 4개 구간이 개통되었고 7개 구간은 공사 중으로 아직 착공하지 않은 유일한 구간이 인천시 중구 신흥동에서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을 연결하는 길이 19.4km, 왕복 4차로 구간으로 문제는 이 구간에 내년 6월 개장 예정인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과 2015년 개장 이후 물동량이 꾸준히 늘고 있는 인천 신항이 있다는 점이다.
신국제여객터미널의 경우 인천∼중국 10개 노선에 따른 카페리가 운항되어 이로 인해1일 평균 1천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가 넘는 컨테이너를 실은 트레일러가 드나들게 되며 인천과 중국을 오가는 카페리는 1척당 최대 370∼1천500명의 여객과 145∼350TEU의 컨테이너를 함께 수송한다.
지난해에는 인천과 중국을 오가는 10개 노선에서 총 43만7천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하였으며 지난2015년 인천 송도 10공구에 개장한 인천 신항도 해마다 물동량이 증가하여 지난해 167만6천만TEU를 기록했고 이처럼 수도권 관문항인 인천항의 항만물류시설은 꾸준히 확충되고 있지만 애초 함께 계획되었던 핵심 도로망 건설이 늦어지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애초 ‘수도권 제2순환도로’는 민간투자사업으로 제안서가 제출되어 2025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정부에서 국비를 투입하는 재정사업으로 전환하여 인천과 안산 구간 개통에는 앞으로 6년 이상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었지만, 인천항만공사에서는 일부 구간만이라도 우선하여 건설, 개통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에 건의할 계획이며 현재 제2순환도로가 끝나는 김포와 인천 구간의 인천 남항 나들목부터 인천대교(1구간), 신항과 연결되는 남송도 나들목부터 시화나들목(2구간) 등 2개 구간에 대한 건설과 개통을 서둘러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김성진 인천항만공사 항만개발실장은 오늘8일 "인천 신항과 신국제여객터미널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물동량을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려면 일부 구간만이라도 조기 개통되어질 수 있도록 계속하여 관계기관에 건의하겠다"고 하였다.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기천’ 인천의 청계천으로 복원한다! (0) | 2019.11.08 |
---|---|
막바지 가을, 인천공항의 낭만 가득한 재즈의 향연 (0) | 2019.11.08 |
운항 선박의 안전확보 위한 ‘연평도항 준설 공사’ 착공 (0) | 2019.11.08 |
‘실종70대 할머니’, 철거된 건물 정화조에서 숨진 채로 발견 (0) | 2019.11.07 |
동남아에서 유입된 『긴다리비틀개미』 발견, 긴급 방제! (0) | 2019.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