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보뉴스/인천광역본부] 김영환 기자
질병관리청 지난 27일 기준 ‘10개 지역 407건 접종 확인에 따라 건강상태 확인과 품질 검사 중,
상온 노출 의심 사용 중단된 백신 물량 총 578만명 분.
질병관리청 양동교 의료안전예방국장은 어제 28일 충북 오송소재 질병관리청에서 브리핑을 통해 "현재 조사를 진행 중인 정부조달 (백신) 물량의 접종 건수는 현재까지 총 10개 지역에서 407건"이라고 밝혔으며 상온에 노출된 것으로 의심돼 접종이 중단된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파악된 인천 지역 접종자도 30명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역별로는 인천 30명을 포함하여 전북 179명, 부산 75명, 경북 52명, 전남 31명, 서울 20명, 충남 13명, 대전·제주 각 3명, 충북 1명 등으로 질병관리청에서는 1명이 주사 맞은 부위에 통증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그 외에 이상 반응이 확인된 바는 없었고 통증은 호전되고 있으며 그 외 나머지 접종자에 대해서는 계속 모니터링은 진행하고 있다고 하였다.
질병관리청은 국가 조달 물량을 공급하는 업체인 신성약품이 백신을 배송하는 과정에서 냉장차의 문을 열어놓거나 제품을 바닥에 내려놓는 등 '냉장유통'(콜드체인) 원칙을 지키지 않은 사실을 확인하고 지난 21일 국가 예방접종 사업을 잠정 중단하는 한편 해당 백신의 사용 중단을 발표한 직후 '문제가 된 백신을 접종한 사람은 없다'고 발표는 했지만, 지난 25일 이후부터 105명→224명→324명→407명 등 조사가 진행될수록 상온에 노출된 백신을 접종한 접종자 숫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상온 노출이 의심돼 사용이 중단된 백신 물량은 총 578만명 분으로 질병관리청은 접종자의 건강 상태를 매일 확인하는 한편, 문제가 된 물량 중 일부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보내 백신의 효력과 안정성 등 품질을 검사하고 있으며 방역 당국에서는 통상 예방접종은 항원이나 단백질 성분을 몸에 넣어주는 것인 만큼 어느 정도의 이상 반응은 있다고 설명하면서 독감 백신의 경우 주사 맞은 부위가 빨갛게 붓는 이상 반응이 15% 정도 보고되고 있고 하루 이틀 정도면 없어진다고 부연하였다.
또한, 피해보상에 대한 부분은 예방접종과 이상반응이 신고되었을 때 그 연관성을 조사하고 또 피해보상심의위원회라는 심의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통해 처리될 것으로 보여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보상신청이나 이상반응에 대한 신고는 접수되지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방역 당국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와 독감이 동시에 감염된 사례가 3건이 확인되고 있다고 밝히면서 올 가을과 겨울 두 종류의 바이러스가 동시 유행 할 가능성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독감 백신 접종율이나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천이 유행의 크기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무엇보다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당부하였다.
serioso27@hanmail.net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문화예술 인프라’로 꽉 들어찬 ‘해양도시로 飛上’! (0) | 2020.10.05 |
---|---|
‘공공하수처리 시설 확충’으로 ‘최상의 하수 서비스’ 본격 시동! (0) | 2020.10.05 |
반려동물 위한 ‘심장 · 피부사상충 예방약’ 선택 아닌 필수! (0) | 2020.09.29 |
추석 연휴, 갈 곳이 마땅치 않다면 ‘박물관’으로… (0) | 2020.09.29 |
인천 곳곳을 누비는 “인천e음버스” 11월부터 달린다. (0) | 202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