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보뉴스/인천취재보도본부]김영환취재부장
‘소각시설 견학’ 등 관련 일정 연기 및 취소로 시민 정서에 따른 대체 방문 고려.
일본 ‘아베 정부'의 수출 규제에 맞서 경기도가 대응책을 내놓은 데 이어 인천시 또한 지자체 차원의 일본 방문 일정을 잡지 않는 등 사실상 ‘보이콧 일본’에 대한 시민들의 정서를 의식하고 있으며 현재의 국내 정서를 고려할 때 지방정부 차원뿐만 아니라 기초자치단체도 이 같은 대열에 합류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지난 22일 인천시에 의하면 인천시와 자매결연이나 우호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일본의 도시는 고베, 기타큐슈, 요코하마 시 등 3곳으로 박남춘 인천시장은 일본의 경제 제재 조치 발표 전인 지난 5월 소각장 선진화 시설 방문 등을 목적으로 요코하마를 다녀온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달 초, 일본이 한국에 대한 경제 제재를 본격화 하면서 경기도와 경기도 기초단체는 우호 방문 등 공식 일정을 잇따라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경기도는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른 피해센터 지원 등 대응책을 내놓아 경기도민들로부터 80% 이상 적극 환영을 받았고 도내 기초단체들 또한 주민들의 반일 감정을 의식하고 있음에 따라 의정부시는 지난 16일 일본 시바타시 방문 계획을 철회하기도 하였으나 인천의 일부 기초단체에서는 다음 달 일본 방문이 내정되어 있어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인천 서구 청라, 연수구 송도 소각장 주민지원협의체 위원들과 전문위원 등 20여 명은 다음 달 말경 일본과 싱가포를 경유하는 7박8일 일정을 추진 중으로 여기에 인천시는 간사 자격으로 참여하기로 하였으며 박남춘 인천 시장이 방문 하였던 일본의 소각 선진 시설을 둘러본 후 이를 경험으로 주민들과 상생 노력한다는 취지이지만 소각장이 지역 내 큰 현안이다 보니 해외 선진 시설을 견학한다는 일정은 타당할 수 있으나 방일은 현 시점에 국민 정서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소각장 주민지원협의체 위원 중 한사람인A씨는 “아시아권에서 일본이 우리나라와 주거환경이나 쓰레기 처리 방식이 비슷하다고 하더라도 요즘 일반 시민들도 일본 여행을 기피하고 있는데 주민을 대표한다는 사람들에게 박남춘 시장이 출장으로 방문한 지역이라며 일본의 해당지역을 방문 하도록 권유하는 것은 잘못된 처사”라고 말했다.
이에 대하여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의 소각 시설이 일본의 기술을 벤치마킹한 시설로, 이 때문에 일본이 거론되었던 것 뿐” 이라고 하였으며 “해당 방문일정의 연기나 취소 등 시민들이 지금의 사태와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는 대체 방문을 고려하겠다”고 하였고 남궁형 인천시의원 또한, “인천시 차원에서도 대응책을 마련하여 시민들의 삶에 불편이 없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지금처럼 반일 감정이 고조된 상태에서 타 지방정부처럼 공무원과 정치인들이 앞장서서 방일을 자제하는 자세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종합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막한 인천항 ‘크루즈터미널’, 『활용 해법』 모색 (0) | 2019.07.24 |
---|---|
송도국제도시 연결 ‘인천 문학터널’ 2022년부터 무료통행 (0) | 2019.07.24 |
북한 ‘개풍군’ 근접 DMZ, 『강화해안순환도로 2공구』 개통! (0) | 2019.07.23 |
모기기피식물 ‘메리골드’, 추억의 꽃 ‘봉선화’ 무료 나눔 (0) | 2019.07.23 |
인천, 개항장 소통창구 ‘개항살롱’ 개소식 개최! (0) | 2019.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