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最高 『청라시티타워』 ‘2023년 준공 계획 난항’
[한국공보뉴스/인천광역본부] 김영환 기자
지하 2층 · 지상 30층 · 높이 448m 규모의 초고층 전망타워와 복합시설 건설 예정,
최종 설계 미완성에 따른 리스크 등을 고려 공사비의 입장 차이 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청장 이원재)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지난해 12월 말 진행된 청라시티타워 시공사 선정 입찰이 참여 기업이 없어 유찰된 뒤 아직도 재입찰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는 상태로 국내에서 가장 높은 전망타워가 될 인천 청라시티타워가 오는 2023년 준공 목표 달성에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청라시티타워 사업은 청라국제도시 호수공원 중심부에 있는 3만3천㎡ 부지에 지하 2층·지상 30층·높이 448m 규모의 초고층 전망타워와 복합시설을 건설하는 내용으로 청라국제도시 조성 주체인 LH의 사업자 공모를 거쳐 지난 2017년 사업 협약을 맺은 민간컨소시엄(보성산업·한양·타워에스크로우)에서 사업을 추진 중으로 총사업비 4천143억원 가운데 LH가 3천263억원, 민간이 880억원을 분담하는 구조이다.
지난 2019년 개최된 기공식 이후, 터 파기와 파일 공사 등 기초공사를 진행하였지만, 공사를 맡았던 포스코건설이 지난해 10월 공사비와 관련한 사업주체와의 견해차를 좁히지 못해 결국 계약 해지 통보를 받은 상태로 업계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을 지어 본 경험이 있는 대형 건설사들이 청라시티타워 건설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면서도 지난해 말 입찰을 포기한 배경으로는 공사비 리스크를 꼽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과거에 산정된 시티타워 공사비 3천32억원은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할 때 턱없이 부족한 액수로 공사비를 일부 조정한다고 해도 최종 설계에서 공사비가 상당히 늘어날 수 있어 시티타워 공사비를 부담하는 LH에서는 수백억원대의 공사비 증액을 검토하고 있지만, 건설사들은 최종 설계 미완성에 따른 리스크 등을 고려할 때 타워 공사비를 4천500억원가량으로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그 차이가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시공사 선정 작업의 지연으로 청라시티타워의 준공 일정도 애초 계획한 2023년보다 늦어질 전망이며 LH 관계자는 "2019년 착공 당시 공사 기간을 48개월로 계산하였는데 설계 및 시공사 변경 등을 거치게 되면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면서 "올해 하반기로 예상되는 시공사 재선정 과정에서 기존의 2023년 준공 목표도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난항을 겪고 있는 청라시티타워는 최고층 전망대에서 북한 개성까지 조망할 수 있을 정도로 높아 인천의 랜드마크로 관심을 끌었으며 현재 국내에서 가장 높은 빌딩은 잠실 롯데월드타워(555m · 123층)로 청라시티타워처럼 건물 안에 호텔, 아파트, 오피스텔 등이 없는 ‘순수 전망용 건물’ 중에서는 현재 남산서울타워(236.7m)가 가장 높아 청라시티타워가 완공되면 높이 448m의 규모로 국내에서 가장 높은 순수 전망용 건물이 된다.
serioso27@hanmail.net